청소년상담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청소년상담 HOME

청소년상담

청소년을 영어로 'adolescent'라고 합니다.
이것은 '어른으로 성장해 간다'는 의미를 가진 라틴어 'adolescere'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청소년기는 아이에서 어른으로 옮겨가는 시기이고 어른이 되는 준비를 하는 시기입니다.
청소년은 아이도 아니고 어른도 아니지만 그만의 독특한 특성을 보입니다.

청소년 상담 진행

1. 총 50분 상담으로 진행됩니다.

2. 청소년 상담이 진행됩니다(약 40분).

3. 청소년의 부모님 면담이 진행됩니다(약 10분).

* 청소년상담은 안정적인 상담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최소한 10회기 이상 진행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매년 청소년의 2-3%가 우울증을 앓고 있으며 남자보다는 여자가 약간 많으며, 부모가 정신과적 문제가 있는 청소년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청소년이 화를 잘 내거나 심술궂게 행동한다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우울증에 빠진 청소년은 집중력이 떨어져 학업을 게을리하고 낮은 성적으로 힘들어합니다.

(1) 청소년 우울증상

- 신체기능도 떨어져 과식, 폭식등으로 체중의 저하/증가등 변화가 나타난다.

- 수면 형태, 식사습관의 변화도 있다.

- 활동 수준도 생기가 없고 하루 종일 피곤하고, 흥분하고 초조해진다.

- 이전의 활동을 부담스럽고 따분하게 느껴진다

- 친구들도 피하게 된다.

- 기분이 나쁘다

- 자신감이 없다.

- 어두운 생각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다.

- 내가 없어진다면 모두 좋아질 것이다.

- 죽고 싶다

- 스스로 해결해보려 술, 담배, 본드, 부탄가스 등 약물남용이나 오용등 비행행동을 나타내기도 한다.

집단 따돌림(왕따) 현상이 청소년들 사이에서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이며 피해 당사자의 자살, 가해학생의 구속 등 사회문제로 번지고 있습니다.

(1) 왕따의 양상

- 집단 따돌림은 주로 교실 내에서 같은 학년/같은 반에서 많이 발생한다.

- 한두 명의 주동 학생이 가해자가 되어 추종하는 일부 학생들로 구성된다.

- 주로 교사의 지도감독이 없는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 청소시간에 발생한다.

- 피해학생이 등교때나 하교할 때에는 더 노골적인 괴롭힘이 발생합니다.

(2) 집단 따돌림의 피해자의 심리상담 중요성

- 집단 따돌림 피해자는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지장을 받는 경우가 많다.

- 집단 따돌림 피해자는 성인이 되어 문제행동에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

- 집단 따돌림 피해자는 정신건강 관련 문제를 더 경험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TO)는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하였습니다.
게임중독은 불안증을 가진 사람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보상 의존성이 강한 성격, 현실이나 위험을 회피하는 성격과 연관이 있습니다.
여기에 내성적인 성격, 사회적 위축, 낮은 자아존중감 등이 원인이 되고 부모의 지나친 통제가 오히려 게임중독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1) 게임중독 증상

- 게임에 대한 내성이 생기고 더 자주, 더 오래 게임을 하고 싶어진다.

- 게임금단 증상이 나타난다.

- 게임을 멈출수가 없다.

- 게임을 줄여야겠다 매일 다짐하지만 계속 실패한다.

- 게임이 학업 (직장), 가정 및 대인관계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친다.

(2) 게임중독 해결방안

- 거실 등 공개된 장소로 컴퓨터를 옮겨 놓는다

- 가급적 필요한 일이 있을 때만 인터넷을 한다.

- 정해진 시간보다 더 게임을 하면 벌칙을 정한다.

- 신체적인 활동을 늘린다.

- 대인관계를 늘린다.

- 게임 이외에 유능하다고 느낄 수 있는 다른 활동을 찾아서 한다.

시험불안이란 시험이 이루어지는 장면에서 느끼는 인지, 정서, 신체적 불안을 의미합니다. 시험을 볼 때 적절한 긴장감은 시험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지나치게 높을 때 학업에 문제가 됩니다. 시험불안이 높은 사람은 시험보다 시험과 관련 없는 생각에 주의가 분산되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되어 나타납니다.

(1) 주요증상

- 실패의 가능성에 대한 생각

- 부정적인 자기 평가

- 낮은 자신감

- 가슴이 두근거리며 소화가 잘 안됨

- 안절부절 못함

-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가

- 불안, 초조감

(2) 시험불안 해결방안

이완 기법, 체계적 둔감법, 보상기법, 불안관리, 주의력, 스트레스 적응 훈련, 예습과 복습의 연습, 시험 치르기 기법 학습을 활용한다